2d3k / CS-Study

기본을 소홀히 하지 말자!!
0 stars 1 forks source link

[Network] 서브넷팅 #23

Open 2d3k opened 1 year ago

2d3k commented 1 year ago

IPv4??

IPv4 고갈로 생긴 서브넷팅??

2d3k commented 1 year ago

1 IPv4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의 4번째 버전입니다. IPv4는 32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IPv4 주소는 보통 "x.x.x.x"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됩니다. 여기서 "x"는 0부터 255까지의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192.0.2.1"은 IPv4 주소입니다.

IPv4는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IP 프로토콜 중 하나이며, 대부분의 네트워크 기기에서 지원됩니다. 하지만 IPv4는 주소 공간의 한계로 인해 주소 부족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Pv6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12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더 많은 주소 공간을 제공합니다.

2 IPv4 주소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Pv4 주소 체계에서 서브넷팅이 개발되었습니다. 서브넷팅(subnetting)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기술입니다.

기본적으로 IPv4 주소 체계에서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서브넷팅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ID의 일부를 호스트 ID 대신 서브넷 ID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를 더 작은 단위로 나누어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습니다.

서브넷팅은 네트워크 관리를 용이하게 만들어주며, 더 많은 호스트를 수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서브넷팅은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서브넷팅을 구현하려면,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를 사용하여 서브넷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합니다.

hyeonayou commented 1 year ago
  1. 전 세계에 걸쳐 인터넷으로 연결된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한 유일한 인터넷 주소이다. IP 주소는 Network ID(네트워크 주소부) + Host ID(호스트 주소부)로 구성된다. IP 주소의 범위는 0.0.0.0번 부터 255.255.255.255번 까지며 .(dot)으로 구분된 옥텟(8bit/1byte) 4개가 조합되어 총 32비트로 이루어진 체계이다.

  2. 서브네팅은 기본 IPv4 주소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기법으로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IP를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으로 분할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과정으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네트워크 ip로 분할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서브네팅을 수행하기 위해선 서브넷 마스크가 필요하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와 쌍으로 사용하는 개념으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붑ㄴ해주는 구분ㅂ자 역할을 해주며 필요 없는 IP 주소를 가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ex) ip 주소가 192.169.0.1 /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 으로 주어졌다면 네트워크 ID는 192.169.0 이고 호스트ID는 1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