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은 새로운 생산의 모델로서의 ‘동료생산과 공유’를 정리하고 있음. 프리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생산 조직은 시장이나 관리적 위계체계에 의존하지 않는 다는 점, 다시 말해 시장, 기업조직, 복합적 모델에 따르진 않은 구조에서 생성되고 있음
특히 현재의 네트워크 환경이 생산의 조직화를 위한 새로운 양식을 가능하게 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함
새로운 생산 모델은 ‘탈중심화’, ‘협업적’, ‘배타적 소유권을 전제로 하지 않음’, 느슨하게 연결된 개인들을 기반으로 공유하는 생산양식임. 이 생산양식이 ‘공유재 기반 동료생산’ 즉 동료생산이라는 용어는 공유재 기반 생산방식을 말함
공유재에 대한 정리
‘공유재commons'란 자원에 대한 접근, 사용, 통제 권한을 구조화는 제도적 형태를 일컬음
공유재르 네 가지 유형으로 보면
1) 자원이 모두에게 개방된 것인가(공기, 바다)
2) 아니면 정의된 집단에게만 개방되는가(특정 지역이나 공동체의 목초지 집합적 소유)
3) 공유재의 시스템이 규제되고 있는가(형식적 규칙, 사회관습적 규칙)
4) 규제되고 있지 않는가
(네트워크상에서) 동료 생산은 허락 없이 공유재를 이용할 수 있고, 공유재 생산을 위한 프로젝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자유는 공유재 기반 생산의 특색을 이룸. 탈집중화된 효과적 집합행동으로 드러남 (가격 시스템이나 관리 조직이 필요없다)
프리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공유재 기반 동료생산의 정수를 보여 준 사례가 ‘프리 소프트웨어’
프리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모델 (생산물을 전유하지 못하는 라이센스 제약조항) : GPL
*아파치 웹서버의 사례 --- 성공의 이유는 무료이어서가 아니라 동료생산에 기반한 작동 시스템에 대한 신뢰
-프리소프트웨어의 역사 : 리처드 스톨만 GNU(비전유적 컴퓨터 운영 시스템) - 이 오늘날 GPL이라고 불리은 일반공중라이선스가 되었음
리누스 토르발스의 리눅스
정보지식문화의 (층위에서의) 동료생산
네트워크 사회에서 동료생산의 범위, 규모, 효과는 급격한 변화를 초래 (초고속컴퓨팅 커뮤니케이션 기능) - 동료생산으로 인한 정보 생산 규모의 확장
발화된 콘텐츠의 사례료
(1) ‘나사 클릭워크서 프로젝트’ (고도의 훈련을 받은 전문적인 작업을 볼렅티어의 적은 예산으로 수행 - **분산형 생산)
(2) 위키피디아 (‘위키’라는 협업을 통한 정보작성에 적합한 도구 (개방형
플랫폼), 자기의식적 노력 - 중립적 관점을 유지하기 위한 집단적인 비공식적 약속, 모두에게 공개
분산형 콘텐츠 생산 MMOGS 대규모 다중이용자 온라인 게임 - 게임 스토리를 유저들이 협동해서 구성
관련성/인증의 사례로 아마존, 구글검색, 스래시닷 뉴스 플랫폼 (공동으로 뉴스레터 만들기) : 평판이 중요
동료생산과 공유
공유재에 대한 정리
1) 자원이 모두에게 개방된 것인가(공기, 바다) 2) 아니면 정의된 집단에게만 개방되는가(특정 지역이나 공동체의 목초지 집합적 소유) 3) 공유재의 시스템이 규제되고 있는가(형식적 규칙, 사회관습적 규칙) 4) 규제되고 있지 않는가
프리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정보지식문화의 (층위에서의) 동료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