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ChoiDM opened 4 years ago
Data: 내부데이터: 정상환자 2430명, 축농증 환자 2430명, 총 4860명의 paranasal sinus (PNS) X-ray슬라이스 / 외부 테스트: 데이터 160례 정상 80명, 축농증 80명
Pre-processing: 1) resize: 224*224 [ratio조정을 위해 zero-padding 사용] 2) crop: Bounding박스를 이용한 크로핑 3) data agumentation: reversed left to right / rotating -30,-10,10,30 degrees 4) labling: binary classification[Normal/sinusitis] 5) split dataset: train (70%), validation (15%), test (15%)
Model: ImageNet으로 pre-trained 된 VGG-16, VGG-19, ResNet-101 VGG-16, VGG-19 parameters factor for L2 regularization = 0.004 max epochs = 35 mini-batch = 10 ResNet-101 factor for L2 regularization = 0.001 max epochs = 60 mini-batch = 64 Majority decision Model 위의 세가지 모델을 이용해 Activation Map을 생성 후 각 모델에서 accuracy가 90%이상인 부분만 남김 세가지 모델의 accuracy 90%이상인 부분을 중첩부분에서는 intersection, 중첩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union을 사용해 activation map에 표기 실행환경: Intel Xeon E5-2643 3.40 GHz CPU, 256 GB memory, and Quadro M4000 D5 8GB GPU using MATLAB
Results Accuracy Training set: VGG-16(99.8%), VGG-19(99.8%), ResNet-101(99.9%),Majority decision(99.9%) Validation set: VGG-16(87.8%), VGG-19(90.7%), ResNet-101(90.1%),Majority decision(91.3%) Test set(내부): VGG-16(87.4%), VGG-19(90.8%), ResNet-101(93.7%),Majority decision(94.1%) Test set(외부): VGG-16(87.58%), VGG-19(87.58%), ResNet-101(92.12%),Majority decision(94.12%) AUC Test set(내부): VGG-16(0.891), VGG-19(0.891), ResNet-101(0.937),Majority decision(0.948) Test set(외부): VGG-16(0.877), VGG-19(0.877), ResNet-101(0.929),Majority decision(0.942)
Limitation 1) 모든 기관의 장비모델 및 X-ray 결과가 다르기 때문에 모델 재현율이 낮음 2) 제안된 Majority알고리즘은 부비동염의 유무 판단에 최적화 되어있음. frontal, ethmoid, sphenoid 등은 알수 없음.
논문 특이점 1) 사용된 모델이 상당히 심플함, but 자체 결과는 나쁘지 않음 2) 다른 모델 결과를 조합해서 더 나은 결과(Majority decision)를 도출해냈음 [결과가 좋긴하지만 이 방법이 과연 합리적인 방법일까...] 3) Argumentation할때 +-30 degree가 합리적이라고 설명하고 있음 [논문의 이유는 너무 많이 돌릴시 축농증의 위치 결과가 바뀌어 잘못 학습될 가능성이 있다고함...] 4) 결과를 설명할때 right, left,bilateral 데이터를 나눠서 보여줌 [데이터톤에서도 다양한 축농증 위치가 있을것이라 예상됨] 5) 저자에 의하면 Alexnet과 GoogleNet을 사용해 봤지만 위에서 사용된 네트워크 보다 성능이 낮게 나오고(<90%), activation map에서 정확한 위치를 못잡아 냈다고함. 이 이유를 커널사이즈가 달라서 이런 형상이 발생했다고 분석함. VGG-16,VGG-19,ResNet 모두 3*3 커널을 사용
Task: Water's view radiopraph( X- 선 빔이 궤도 선에 대해 45 ° 각도를 이루는 X-ray 영상) 에서의 maxillary sinusitis(염증성 축농증) 자동 진단
Data: 직접 레이블해서 생성한 데이터
Results:
Discission: Class Activation Map (CAM)을 뽑아본 결과, 가장 sinusitis 가 잘 발생하는 지역에선 mucus(점액), 또는 mucosal thickening 이 잡혔다. 반대로 non-sinusitis 의 경우에는 bony wall (코뼈) 부분이 잡혔다.
Deep learning classifica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evaluation of maxillary sinusitis on panoramic radiography
-
Data: 내부데이터:
training data : 400명의 정상인과 염증 환자 데이터를 사용(상악동염 위치에 따라 4그룹(양쪽 다 정상, 좌, 우 감염, 양측 감염)으로 분류하고 남자 50,여자 50으로 나누어짐).
test data : 30명의 양쪽 모두 정상인 사람과 과 60명의 unilateral한 염증환자 데이터 사용
Pre-processing:
crop: ROI를 200x200로 crop
data agumentation: Infan View SW의 필터들을 이용하여 smaple 6000개까지 늘림(로테이션은 사용하지 않음), Table 3 참조
-
Model: Alexnet CNN 라이브러리 V5.0 사용
epochs : 200 사용 환경 :Ubuntu OS v. 16.04.2 with 128 GB of memory and 11 GB of GPU memory (NVIDIA GeForce GTX 1080 Ti).
-
Results Accuracy DL : 87.5%, Radiologist : 89.6%, (Dental) Resident : 76.7%
Sensitivity
DL : 86.7%, Radiologist : 90.0%, Resident : 78.3%
Specificity
DL : 88.3%, Radiologist : 89.2%, Resident : 75.0%
Positive predictive value
DL : 88.1%, Radiologist :89.6%, Resident : 75.0%
Negative predictive value
DL:86.9%, Radiologist : 89.9%, Resident : 77.6%
AUC
DL : 87.5%, Radiologist : 89.6%, Resident : 76.7%
-
Conclusion
DL 시스템이 방사선 전문의에 가까운 퍼포먼스를 보였고, 치과 Resident보다는 훨씬 높은 퍼포먼스를 보임( Dental resident가 전문의인지 전공의인지는 파악이 잘 안되네..)
-
특이사항
기본적인 Alexnet(V5.0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였고, 딥러닝 모델들간의 비교가 아닌 Human doctor/dentist 와 비교한 논문.
augmentation을 rotation하지 않고 brightness, contrast, sharpness, gamma correction, blur, middle value 등의 필터들을 사용하여 진행함.
첨부. Table3
2020년 9월 19일 (토) 오후 12:29, seung hyun Hwang notifications@github.com님이 작성:
Deep Learning in Diagnosis of Maxillary Sinusitis on Conventional Radiograph 정리
-
Task: Water's view radiopraph( X- 선 빔이 궤도 선에 대해 45 ° 각도를 이루는 X-ray 영상) 에서의 maxillary sinusitis(염증성 축농증) 자동 진단
Data: 직접 레이블해서 생성한 데이터
train data: 8000장
validation data: 1000장
test data: - external test set(n = 140), geographic external test set ( n = 200)
- Pre-processing:
전처리: 다이콤 형식 X-ray 영상들을 7x7 (cm) --> 70mm * 70mm 사이즈로 센터 크롭 이후 left maxillary sinuses 에 해당하는 영상을 horizontal flip하여 추가 데이터로 이용함. 이후, 모든 이미지들을 224x224사이즈로 bilinear interpolation 통해 upsampling하여 사용
augmentation: random scaling, random translation, random contrast modification.
- Model:
10개의 residual block과 하나의 fc layer로 이루어진 ResNet 사용
conv layer마다 batch normalization 사용
cross-entropy loss 사용 / RMSProp optimizer 사용
lr 0.01에서 시작하여 1000 step마다 0.94 decay rate으로 줄음
batch 48
Xavier weight initialization
- Results:
temporal external test set: AUC 0.93 / Sensitivity 0.77 / Specificity 0.94
geographic external test set: AUC 0.88 / Sensitivity 0.56 / Specificity 0.99
- Discission: Class Activation Map (CAM)을 뽑아본 결과, 가장 sinusitis 가 잘 발생하는 지역에선 mucus(점액), 또는 mucosal thickening 이 잡혔다. 반대로 non-sinusitis 의 경우에는 bony wall (코뼈) 부분이 잡혔다.
[image: image] 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57741623/93658122-c0242a00-fa73-11ea-9e47-ad2fa303dea6.png
— You are receiving this because you were mentioned. Reply to this email directly, view it on GitHub https://github.com/CCIDS/KHD2020/issues/1#issuecomment-695157681, or unsubscribe https://github.com/notifications/unsubscribe-auth/AH6HX3RVKAF6CNQLTESL5ZTSGQQSVANCNFSM4RRZP2WQ .
Deep Learning in Diagnosis of Maxillary Sinusitis on Conventional Radiograph (@seunghyunni)
Improvement diagnostic accuracy of sinusitis recognition in paranasal sinus X-ray using multiple deep learning models (@Impku)
Deep-learning classifica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evaluation of maxillary sinusitis on panoramic radiography (@HanBJaaaaaa)
Performance of deep learning object detection technology in the detection and diagnosis of maxillary sinus lesions on panoramic radiographs (@ChoiDM)